부산에너지정의행동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부산에너지정의행동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N
    • 부산에너지정의행동
      • 부산에너지정의행동소개
      • 활동소개
      • 공지사항
      • 살림살이
    • 성명 및 보도자료
      • 성명ㅣ논평 N
      • 언론보도
      • 카드뉴스
    • 오늘의 활동
      • 매일탈핵
      • 탈핵과 정보공개
      • 대한민국 방방곡곡 가져가라 핵페기물 플래시몹_20..
      • 정의로운 연대
    • 에정행과 함께
      • 에정행각
      • 탈핵신문읽기모임
      • 바다정화행동
      • 에정행이야기
    • 새알미디어
    • 핵마피아 꼼짝마
      • 카드뉴스와 영상
      • 언론보도 주간 브리핑
      • 콜로키움과 강연
    • 대한민국 방방곡곡 가져가라 핵폐기물
      • 일정과 공지사항
      • 보도자료와 성명서
      • 사진과 영상기록
      • 하루하루 캠페인단 이야기
    • 자료실
    • 후원하기

검색 레이어

부산에너지정의행동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에정행과 함께/바다정화행동

  • 7월, 바다정화_행동

    2021.08.02 by 부산에너지정의행동

  • 바다정화행동_5월과 6월활동

    2021.06.21 by 부산에너지정의행동

  • 4월 바다정화 행동

    2021.04.18 by 부산에너지정의행동

  • 3월 바다정화행동_가덕도 외양포 바다

    2021.03.26 by 부산에너지정의행동

  • 바다정화행동_2월

    2021.03.01 by 부산에너지정의행동

  • 1월 바다정화행동_ 그 여섯번째 _광안리바다

    2021.02.01 by 부산에너지정의행동

  • 12월 바다정화행동

    2021.01.04 by 부산에너지정의행동

  • 11월 바다정화_ 행동_ 그 네번째

    2020.11.23 by 부산에너지정의행동

7월, 바다정화_행동

7월, 바다정화행동은 영도 흰여울문화마을아래 해변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벼랑끝에 노여진 마을이라 주변경관이 너무 멋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비탈에 어떻게 집을 짓고 태풍을 이겨내며 살아온 것에 경이롭기까지 했습니다. 일시: 2021.7.16.토 오후4시 장소: 흰여울문화마을 아래 해변 흰여울마을 아래 해변, 그저 깨끗하게 보였지만 역시 자세히 살펴보면 행락객들이 버리고 간 흔적들을 발견할수 있었습니다. 종이컵, 빨대, 일회용 음료수 잔, 이런것들을 대신할수 있는것은 텀블러, 다회용빨대 인데...오늘도 쓰레기를 주으면서 일회용을 사용하지 않으리라 다시 다짐해보았습니다. 갯바람에 날아갈까봐 주변 돌맹이를 눌러놓았습니다. 탈핵이는 언제나 참여하지요! 톡쉑이 돌멩이가 많은 해변이라 다리를 삐긋했어요ㅜ. 부산에너지정..

에정행과 함께/바다정화행동 2021. 8. 2. 13:26

바다정화행동_5월과 6월활동

바다정화행동_5월 -일시: 2021년 5월 29일(토) 오후3시30분 -장소: 송도해수욕장 -함께 한 분: 강경우 임성조 김현욱 그리고 탈핵이 관리가 되고 있는 해수욕장이기때문에 쓰레기는 많이 없을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숨어있는 쓰레기가 많이 보였습니다. 시작한곳은 해변가에 있는 화단이었는데 풀숲과 나무사이에 끼어있는 쓰레기가 많았습니다. 화단에 두고간 컵라면 그릇에는 개미들이 잔뜩이네요ㅜ 빨대포장 비닐이 많이 버려져 있었습니다. 화단 구석구석에는 버려진 1회용 커피잔과빨대 그리고 생수병ㅜㅠ -일시: 2021년 6월 19일(토) 6시 -장소: 광안리해수욕장 6월은 고리1호기영구정지 4년 기념을 위해 광안리해수욕장에 퍼포먼스를 준비하며 바다정화활동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오전10:30에 도착해 파라솔 선점하..

에정행과 함께/바다정화행동 2021. 6. 21. 12:38

4월 바다정화 행동

-일시: 2021년 4월 18일(토) 오후 3시~5시 -장소: 신암 방파제 신암방파제 인근마을은 고리핵발전소가 건설되면서 발전소 지역주민들이 이주한 곳이다. 지난해 신고리5.6호기가 잘보이는곳을 찾아나서다 신암방파제에 오게 되었다. 이주단지를 지나 방파제에 들어서자 온통 쓰레기로 범벅이 되어있는 꼴을 보고 화가 치밀었다. 행락객들의 버리고 간 쓰레기기 때문이기도 했지만 관리되고 있지않은 것에도 더 화가났다. 꼭 한번은 여기서 정화활동을 해야겠다 다짐하며 오늘 그 행동을 회원들과 함께 했다.

에정행과 함께/바다정화행동 2021. 4. 18. 01:29

3월 바다정화행동_가덕도 외양포 바다

#부산에너지정의행동 #바다정화행동 #가덕도바다_외양포 #가덕신공항반대 3월, 바다정화행동에는 녹색당, 미래당도 함께 했고요. 신공항반대시민행동이 함께 하는 날이었어요- 가덕도 외양포바다에 쓰레기가 정말정말 많았는데요. 오십개가 넘는 포대에 쓰레기를 가득가득 담았어요. 아름다운 가덕바다가 쓰레기로 뒤덮여 있어 속상했어요. 맑은 날씨에 오늘 가덕도를 찾은 분들도 많았는데요. 공항이 아니라 아름답게 보존되고, 지켜질 가덕도가 우리 모두에게 더 필요하지 않을까요? 함께 해주신 모든 분들 수고 많으셨어요! 공항건설을 막아내고 가덕도와 이곳의 모든 생명들을 지키는데 함께 해요!

에정행과 함께/바다정화행동 2021. 3. 26. 10:13

바다정화행동_2월

일시: 2021년 2월 20일(토요일) 오후 3시 장소: 이기대 3월 바다정화행동은 3월 21일(일요일) 오후3시 가덕도 대항에서 진행됩니다. 가덕도 대항은 가덕신공항을 들어설 예정지입니다. 지난 2월 26일 국회 본회의에서 특별법이 통과되어 일사천리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가덕은 낙동강하구에 자리잡은 천혜의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곳입니다. 생태자연도 1등급지로 동백군란지가 분포하며 멸종위기야생동물인 구렁이, 표범장지뱀와 맹꽁이와 바로 인근은 천연기념물 179호 철새도래지로 문화재보호구역입니다. 국가가 지정한 제도로 개발을 절대 불가능한 지역으로 지정한 곳입니다. 이런곳에 거대양당은 자연생태에 대한 부분은 일도 언급하지않고 있습니다. 기후위기시대, 탄소흡수원인 가덕의 산을 허무르고 바다를 메우겠다고 밀어붙이..

에정행과 함께/바다정화행동 2021. 3. 1. 07:36

1월 바다정화행동_ 그 여섯번째 _광안리바다

*일시: 2021년 1월 23일(토)오후3시~6시 *장소: 광안리 바다 부산에너지정의행동의 바다정화행동은 매월 세번째 토요일 진행됩니다. 2021년 1월은 타일정으로 인해 한주 연기되어 네번째 토요일 진행되었습니다. 오전 내내 비가 오다가다, 기상청도 하루종일 비가 예보되고, 하나마나 결정을 못하고 하늘만 바라보며 새해첫회부터 추춤되는 사이 비가 멈춤네요. 오예! 급히 바다로 향하고 바다정화행동을 시작! 바람이 억수같이 부네요. 바닷가 가장자리에 자리잡은 해초들이 쌓여있습니다. 해초들을 뒤적이니 스티로폼이 산산이 부서져 있네요. 해초와 분리해서 스티로폼만 수거하기에는 너무 힘이 듭니다. 우리가 수거하지 못한다면 부서진 스티로폼 조각들은 어떻게 될까요. 역시 해양생물이 먹이로 오인해서 먹기도 하고 지금보다..

에정행과 함께/바다정화행동 2021. 2. 1. 22:21

12월 바다정화행동

◌ 행동 한 날과 곳 : 2020년 12월 26일(토) 늦은 3시 기장 월내항 ◌ 행동 한 분들 : 강미경 강언주 김현욱 정수희 탈핵이(부산에너지정의행동 제4멤버) 부산에너지정의행동의 바다정화행동은 매월 3번째 토요일에 진행되지만 12월은 '부산반핵영화제'로 한주 미루어 행동했습니다. 부산에너지정의행동의 바다정화행동은 계속됩니다. 2021년 1월 16일(토) 늦은 3시 광안리해수욕장입니다. 누구나 참여가능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면 연락주세요~^^ 김현욱(행동) 010-9329-4039

에정행과 함께/바다정화행동 2021. 1. 4. 13:26

11월 바다정화_ 행동_ 그 네번째

먹구름이 잔뜩 낀 11월 21일 일요일 오후 3시 일랑해수욕장에서 부산에너지정의행동의 네번째 바다정화행동! 또 바다를 오염시키는 염화비닐로 만드는 '웜'이 심각하다. 웜은 대부분이 염화비닐에 가소제를 첨가하여 부드럽게 만든다고 한다. 플라스틱을 가공할때 첨가되는 화학물질 중 폴리염화비닐은 전체 중량의 10~50%까지 사용한다고 하나 극히 드물고 심하면 80%까지도 사용한다고 한다. 화학첨가제가 문제가 심각한 이유는 대부분의 첨가제가 플라스틱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지 않고 베어 나와 분해되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동반한다는 것이다. 낮은 농도에서 잘 녹는 프탈레이트 가소제는 발암과 생식기능을 손상시키는 내분비 교란을, 폴리브롬화디페닐에테르는 갑상선교란과 신경독성이 있어, 이런 물질들이 바다에 들어가면..

에정행과 함께/바다정화행동 2020. 11. 23. 15:3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부산에너지정의행동 "탈핵과 기후정의를 위해 활동합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